04.정보보안 일반 - 03.전자서명

전자서명 인증 구조 및 주요 특징

1. 전자서명(Digital Signature)의 이해

  • 전자서명(Digital Signature)의 정의
    • 작성자의 신원과 전자문서 변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자문서를 비대칭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전자서명 생성키로 생성한 정보
    • 개인의 고유성을 주장하고 인증받기 위해서 전자적 문서에 서명하는 방법으로 무결성, 추적성 확보를 목적으로 함
  • 암호화 키
    • 5개의 암호화키가 사용됨
    • 송신자의 사설키(개인키)와 공개키
    • 수신자의 사설키(개인키)와 공개키
    • 대칭키(비밀키)
    • 사용방법
      • 송신자 개인키 : 전자서명
      • 송신자 공개키 : 전자서명 확인
      • 수신자 개인키 : 복호화
      • 수신자 공개키 : 암호화
  • 전자서명의 특징

    특징 상세 내용
    서명자 인증(Authentication) 전자서명을 생성한 서명인을 검증 가능(서명자의 공개키)
    부인방지(Non-Repudiation) 서명인은 자신이 서명한 사실을 부인 불가
    위조 불가(Unforgeable) 서명인의 개인키가 없으면 서명을 위조하는 것은 불가함
    변경 불가(Unalterable) 이미 한 서명을 변경하는 것은 불가
    재사용 불가(Not-Reusable) 한 문서의 서명을 다른 문서의 서명으로 재사용 불가
  • 전자서명 기능
    • 사용자 인증
      • 서명문의 서명자임을 제3자가 확인
      • 비대칭(공개키) 암호화 기법 이용
    • 메시지 인증
      • 메시지 내용의 무결성 보증
      • 해시함수 이용

2. 전자서명 과정

Digital Envelope

이미지 출처

  • 송신자
    • hash(message) -> message digest
    • enc(message digest, 송신자 개인키) -> 전자서명
    • enc(전자서명, 대칭키) -> 전자서명 암호화

    • enc(message, 대칭키) -> 암호화된 메시지

    • enc(대칭키, 수신자 공개키) -> 전자봉투
  • 수신자
    • dec(전자봉투, 수신자 비밀키) -> 대칭키

    • dec(전자서명 암호화, 대칭키) -> 전자서명
    • dec(전자서명, 송신자 공개키) -> message digest

    • dec(암호화된 메시지, 대칭키) -> message
    • hash(message) -> message digest

    • message digest 비교

3. 전자서명 기법의 종류

1. RSA 전자서명

  • RSA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해서 메시지에 전자서명을 한다.
  • RSA 방식은 암호화와 복호화를 하는 경우 송신자의 개인키와 공개키로 사용한다.
  • 소인수 분해의 어려움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서명이다.

2. ElGamal 전자서명

  • 1985년 발표된 것으로 이산대수 문제를 이용한 전자서명이다.
  • 전자서명의 안전성은 이산대수 문제에 기반하고 있다.
  • ElGamal 은 암호화 알고리즘으로는 사용할 수가 없고 오직 전자서명만 가능하다.
  • 서명자 A는 자신의 개인키를 사용하여 메시지에 전자서명을 한다.

3. Schnorr 전자서명

  • IC 카드에 적합한 전자서명 방식이다.
  • ElGamal를 기반으로 하고 서명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서 제안된 방식이다.

4. DSS

  • Digital Signature Standard
  • 미국 저자서명 표준으로 ElGamel 전자서명을 개량한 것이다.
  • RSA와 다르게 암호화키 교환과 암호화는 지원하지 않고 오직 전자서명만 지원한다.
  • ElGamal 전자서명 방식으로 서명 검증을 개량한 것으로 서명 검증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서 계산량을 줄인 방식이다.

5. KCDSA

  • Korea Certificate-based Digital Signature Algorithm
  • 1996년 개발된 국내 전자서명 표준으로 국내 전자서명법을 준용하여 인감과 같은 법적 효력을 가지고 있다.
  • 1998년 한국정보통신기술 협회에서 국가 표준으로 제정되었다.
  • 이산대수를 기반으로 하는 전자서명 알고리즘이다.

6. ECC 전자서명

  • ECDSA(Elliptic Curve Digital Signature Algorithm)로 타원곡선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서명이다.
  • 타원곡선 알고리즘은 짧은 키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자서명을 짧은 시간 내에 생성가능하게 되었다.

PKI 구조

1.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개요

1. 개념

  • 공인인증의 구조를 말하며, 공인인증서(X.509, ITU-T 표준)를 통해서 인증 받는 구조
  • 인증기관(CA)에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공인인증서를 발급 받는다.
  • 인증기관은 사용자 신원을 확인하고 인증서를 발급해 주는 구조
  • 사용자가 너무 많기 때문에 사용자 신원확인을 대행해 주는 등록기관(RA) 필요
  • 등록기관이 신원확인을 하고 인증기관이 공인인증서를 발급해 줌
  • 인증기관 인증서 취소 목록(CRL) 을 관리해서 인증서의 유효성을 확인
  • 공개키 알고리즘을 사용해서 암호화 및 전자서명을 하기 위한 보안 시스템으로 디지털 인증서를 사용해서 사용자를 인증할 때 사용

2.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목적

목적 주요 내용 요소기술
인증(Authentication) 사용자에 대한 확인, 검증(공개키 인증) Certificate
기밀성(Confidentiality) 송수신 정보에 대한 암호화 암호화, 복호화
무결성(Integrity) 송수신 정보의 위/변조 방지 해시함수(MD)
부인봉쇄(Non-Repudiation) 송수신 사실에 대한 부인방지 전자서명
접근 제어(Access Control) 허가된 수신자만 정보에 접근 가능 DAC, MAC, RBAC
키 관리(Key Management) 공개키 발급, 등록, 관리, 폐기  

2. PKI 구성

1. PKI 구조와 구성요소

PKI

이미지 출처

  • 정책승인기관(PAA)
  • 정책인증기관(PCA)
  • 인증기관(CA)
  • 등록기관(RA)
  • 인증서 폐기 목록(CRL)
  • 디렉터리(X.500 및 LDAP)
  • X.509 인증서

2. PKI 세부 구성 내용

구성요소 주요 기능
인증기관(CA) Certification Authority ⦁ 인증 정책 수립, 인증서 및 인증서 폐기 목록 관리(생성, 공개, 취소, 재발급)
⦁ 공개키 인증서를 자신의 개인키로 서명
⦁ 공개키와 개인키 쌍의 소유자 신분 증명
⦁ 다른 CA와 상호 인증
⦁ CRL(Certificate Revocation List, 인증서 폐기목록) 등록 및 인증 절차 작성
등록기관(RA) Registration Authority ⦁ 사용자 신원 확인, 인증서 요구 승인, CA에 인증서 발급 요청
⦁ 디지털 인증서 신청자의 식별과 인증을 책임
⦁ PKI를 이용하는 Application과 CA 간 인터페이스 제공
⦁ 대표적 RA : 은행, 증권사
CRL (Certificate Revocation List) ⦁ 인증서 폐기 목록
⦁ 인증서의 지속적인 유효함을 점검하는 도구
⦁ 폐지 사유 : 디지털 서명의 개인키 노출, 인증서가 필요 없을 경우, 개인키 분실, 인증서 효력 정지 등
⦁ OCSP : 인증서 상태에 관한 정보를 조회 또는 CRL 검색 프로토콜
Directory ⦁ 인증서, 암호키에 대한 저장, 관리, 검색 등의 기능, PKI 관련 정보 공개
⦁ 디렉터리 표준 형식으로는 X.500(DAP, Directory Access Protocol)과 이것을 간략화시킨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가 있음
CPS (Certification Practice Statement) ⦁ 인증서 실무 준칙 문서
⦁ PKI를 구현하기 위한 절차를 상세히 설명해 놓은 문서로 CA의 운영을 통제하는 상세한 일련의 규정
⦁ 인증 정책, 인증 절차, 비밀키 관리 절차 등을 포함
⦁ 모든 사용자에게 반드시 공개해야 함(홈페이지에 게시)
X.509 ⦁ X.500 디렉터리 서비스에서 서로 간의 인증을 위해 개발된 것
⦁ CA에서 발행하는 인증서를 기반으로 함, 공개키 인증서 표준 포맷
⦁ 공개키 인증서의 포맷 표준 : 발행자, 소유자, 소유자의 공개키, 유효기간, 고유번호, 알고리즘
⦁ 사용자의 신원과 키 정보를 서로 결합한다는 것을 의미

3. PKI 세부 내용

1. 인증서 발급센터와 인증기관

  • 인증서 발급센터

    CA Hiearachy

    이미지 출처

    • Root CA, 정책 승인 기관(Policy Approving Authority), 정책 인증기관(Policy Certification Authority), 인증기관(Certification Authority) 으로 나뉘어짐
    •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X.509 인증서(공인 인증서)를 발급
    • 등록기관(RA)이 인증기관 하위에서 사용자 신원 확인 역할수행
    • 은행에서 발급받은 인증서를 증권회사에 인증받기 위해서 인증기관 간의 상호인증을 수행하는 실시간 프로토콜(OCSP)을 사용

2. OCSP(Online Certificate Status Protocol)

  • OCSP(Online Certificate Status Protocol)

OCSP

이미지 출처

3. 디렉터리 서비스(Directory Services)

Directory Service

이미지 출처

  •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입력, 수정, 삭제,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
  • ITU-T 표준 X.500
  • IETF 표준 LDAP
  • DAP(Directory Access Protocol)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작업을 수행

4. 공개키 인증서(X.509 인증서)

  • 1988년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에 의해 표준으로 개발
  • 1993년 두 번째 버전 출시 : 2개의 인식자가 첨가
  • 1997년 세 번째 버전에서 확장 영역이 추가
  •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가 인터넷상에서 X.509 인증서 사용을 결정함, 인증서의 확장영역에 인터넷 사용에 필요한 요건을 정함

5. X.509 인증서의 포함 내용

  • 인증서 버전, 인증서 고유번호, 발급자의 서명, 발급자 정보
  • 인증서 유효기간, 주체 정보, 공개키, 주체키
  • X.509 인증서의 ASN.1 구조

    구성 설명
    OID(Object Identifiers) 다양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예: CA가 사용하는 RSA 또는 DSA와 같은 알고리즘, 인증 정책 등을 X.509 인증서에 기록하기 위해 사용)
    AI(Algorithm Identifiers) 암호 알고리즘과 키에 대한 정보(예: X.509 인증서가 사용하는 전자서명 알고리즘, 공개키와 관련된 알고리즘을 알 수 있음)
    DS(Directory String) ⦁ 텍스트(text) 정보
    ⦁ DS는 다양한 언어와 문자를 사용할 수 있도록 PrintableString, TeletexString, BMPString, UTF8String, UniversalString 등 여러 형태로 정의
    DN(Distinguished Names) 국제적 디렉터리(directory)에서 X.509 인증서를 식별해야 하기 때문에 계층적으로 이름을 부여
    GN(General Names) X.509 인증서의 이름을 암호화하기 위한 것으로, GN은 7개의 표준 이름 형태를 사용

PMI

1. PMI(Privilege Management Infrastructure)

  • 권한관리 기반구조(PMI)는 Attribute Certificate를 발급, 저장, 유통을 제어하여 권한관리 자원과 소유자 간의 관계를 신뢰기관이 보증하고 유지하는 권한관리 기반구조이다.
  • 기존 공개키 인증서는 신원 확인용으로만 사용되어 권한인증 서비스가 불가능하고, 패스워드 방식의 접근통제에 대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2. 속성인증서(AC : Attribute Certificate)

  • 속성인증서(AC : Attribute Certificate)는 속성관계를 확인하는 PMI용 인증서
  • 속성 관리 기관에서 속성정보를 바탕으로 발급
  • 속성인증서와 속성인증서의 공개키 인증서를 연결하여 권한을 검증
  • 속성인증서는 기존의 신원 확인을 위한 공개키 인증서의 확장 필드를 이용하거나, 신원 확인용과 별도의 속성인증서를 발급하여 관리하는 두 가지 구현 방안이 있음.
  • 속성 인증서(Attribute Certificate) : 신원 확인 및 권한 관리

3. PMI의 구성요소

PMI

이미지 출처

4. PMI 세부 내용

구성요소 세부 내용
SOA (Source of Authority) PKI의 루트 CA와 유사한 역할, 권한 검증자가 무조건 신뢰함
AA (Attribute Authority) SOA로부터 권한의 전부 또는 일부를 위임받아 인증서 발급 업무 수행
권한 소유자(Privilege Holder) 인증서를 통해 AA로부터 권한에 대한 소유권을 보증 받은 자(PKI의 End-Entity에 해당)
권한 검증자(Privilege Verifier) 속성 인증서로 사용자의 권한을 검증함

전자서명 응용 프로그램

  • 전자투표의 개념(Electronic Voting)
    • 투표소에 전자투표기를 설치하여 투표를 하거나 컴퓨터를 사용해서 투표하는 방식
    • e-투표라고도 하며 인터넷을 사용해서 투표를 할 수 있다.
  • 전자투표 시스템 구성요소
    • 전자 투표기 : 사용자를 인증한 뒤 화면에 나오는 영상을 보고 투표 한다.
    • 개표 시스템 : 전자개표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개표를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
    • 전자검표 시스템 : 투표 기록기를 읽어서 판독을 수행한다.
  • 전자투표 시스템의 요구사항
    • 투표소 전자투표(Poll Site E-Voting) : 유권자가 투표소를 방문해서 직접 투표
      • PSEV 방식 : 투표소에 설치된터치스크린을사용해서 투표
    • 인터넷 투표(Remote Internet E-Voting) : 투표소에 방문하지 않고 인터넷을 사용해서 투표
      • RESV 방식 : 컴퓨터를 사용하거나 SMS 문자, 디지털 TV 등을 사용하여 투표
        • 편의성 증대, 유권자의 참여가 증가
        • 비밀투표가 침해될 가능성, 보안에 대한 위험성이 높아짐

댓글남기기